본문 바로가기
IT 생활 정보

서브넷 마스크란? – 네트워크를 나누는 방법

by 도깨비ABC 2025. 7. 3.

 

📘 I 쉽게 푸는 IT 사전 41편

🧠 IP 주소만으로는 부족한 이유

IP 주소는 컴퓨터의 주소라고 했는데, 왜 하나 더 필요한 정보가 있을까요?
바로 **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**입니다.
이 값이 없으면, 내가 찾는 상대가 같은 동네에 있는지, 먼 곳에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.


🔍 서브넷 마스크란?

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나누는 기준선입니다.
쉽게 말해, IP 주소의 앞부분은 "동네 이름", 뒷부분은 "집 번호"라고 볼 수 있죠.


🏡 비유로 이해하는 서브넷

항목  예시  설명
IP 주소 192.168.1.100 전체 주소 (동네 + 집 번호)
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0 어디까지가 '동네'인지를 구분함
네트워크 주소 192.168.1.0 이웃이 사는 지역
호스트 주소 100 그 안의 개별 집

서브넷 마스크 개념

 

설명: 한 도시(네트워크)에 여러 집(호스트)이 있고, 경계선(서브넷 마스크)이 구역을 나누는 형태


🧮 서브넷 마스크 표기법

표기 방식 CIDR 형식  호스트 수  설명
255.0.0.0 /8 1,677만 클래스 A, 대형 네트워크용
255.255.0.0 /16 65,534 클래스 B, 중형 네트워크용
255.255.255.0 /24 254 클래스 C, 소형 네트워크용

🧩 실생활 예시

  • 회사 네트워크: 각 부서를 별도 서브넷으로 분리해 보안 강화
  • 학교 와이파이: 학생/교직원/방문자 각각 다른 서브넷 사용
  • 게임 서버: 유저를 지역 기반 서브넷으로 나눠 빠른 접속 제공

서브넷 마스크 구조 설명

 

설명: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각각 32비트로 정렬되어 ‘네트워크 부분’과 ‘호스트 부분’으로 나뉘는 모습 시각화


🧪 서브넷이 필요한 이유

  • 보안: 부서 간 네트워크를 구분해 접근 제한
  • 성능: 트래픽을 분산시켜 병목현상 최소화
  • 관리 효율: 대규모 네트워크를 쉽게 쪼개 관리 가능

✅ 정리하면…

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 안에서 어느 부분이 네트워크이고, 어느 부분이 호스트인지 알려주는 마스크입니다.
마치 우편번호처럼, ‘이 구역’과 ‘그 집’을 나누는 기준이 되는 중요한 정보예요.


🔜 다음 글 예고

📘 42. 호스트명(Hostname)이란? – 컴퓨터의 이름표
👉 수많은 기기 속 내 컴퓨터를 구별하는 방법, 호스트네임이 답입니다!


📚 참고 자료

  • Cisco Networking Academy – 서브넷 마스크 개념
  • 한국정보화진흥원 – 네트워크 기본 구조
  • RFC 950 – Internet Standard Subnetting

👋 오늘도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
작은 정보 하나가 당신의 건강한 IT 생활을 만듭니다.
구독과 즐겨찾기로 다음 이야기도 함께해 주세요 😊